지난번 기사에 쿠팡 퀵플렉스에는 고정기사와 백업기사가 있다고 언급드린 바 있습니다.
하기 "쿠팡 퀵플렉스의 라우터 선정에 대한 고민사항" 내용 참고 바랍니다.
여기 다시 정리하자면,
1) 고정기사 : 배정된 동일한 라우터를 1년 내내, 즉 주 5일 또는 6일을 계속 타는 기사
2) 백업기사 : 고정기사의 휴무일에 해당 라우터에 들어가서 업무를 수행하는 기사.
1주에 적게는 2개 많게는 3개 라우터를 돌아가며 탑니다.
(주 6일 근무 대리점은 주 6일 모두 다른 라우터를 타기도 합니다.)
1. 고정기사의 특징
1) 고정기사의 장점
*퀵플렉스는 항상 고정된 구역을 배송권역으로 받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특징에 맞는 노하우가 생깁니다.
가령, 특정 아파트의 특정 동/호는 거의 매일 하루에 2~4개씩 주문합니다. 그 고객의 물건은 D1때 가지 않고 마지막까지 녹여서 한 번에 갈 수 있습니다.
*라우터 전반의 동선을 꿰뚫고 있어 상황에 맞추어서 유도리있게 동선을 쉽게 변경가능합니다.
*따라서, 익숙해지면 익숙해 질수록 같은 물량이라도 더 빨리 배송 완료할 수 있습니다. 즉 타수가 늘어난다는 것입니다.
*또한, 일을 일찍 끝나서 타 라우터에 백업을 갈 기회가 많아집니다. 아니면, 기회가 된다면 다른 서브라우터를 하나 더 따서 같이 배송을 할 수도 있습니다.
*수행률을 본인이 직접 컨트롤하기 때문에 이슈가 없으면 본인이 원하는 한 해당 라우터를 계속할 수 있다.
2) 고정기사의 단점
*매일 똑같은 곳을 가기 때문에 단조롭고 지겹습니다.
*출근일, 프백 및 반품 회수, 오배송 등의 수행률 점수가 떨어지면 본인이 책임져야 하고 심각할 경우 해당 라우터에서 탈락할 수도 있습니다
2. 백업기사의 특징
1) 백업기사의 장점
*(고정기사는 특정 해당 라우터에 대해서만 아는 데 반해) 여러 권역에 대해서 두루 노하우가 생깁니다.
*일주일에 여러 군데를 다니기 때문에 덜 지겹습니다.
*고정기사 대비 대리점 수수료의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(대리점에 따라서 차별을 두지 않는 곳도 있음)
*타 라우터의 기사 공백이 생겼을 때 거기 투입할 수 있는 우선권이 주어집니다.
*보통 백업기사는 수행률 평가는 별로 영향이 없기 때문에 해당 스트레스는 덜 받습니다.
2) 백업기사의 단점
*말 그대로 백업기사이기 때문에 정해진 고정노선이 없습니다.
*업무 초반에는 각 라우터에 대해서 동선, 특징 등을 익히느라 머리며 몸이 무지 힘들고 피곤합니다.
*라우터마다 업무 수행 방식이 틀리기 때문에 업무종료시간이 라우터에 따라서 변동이 많습니다.
여러분의 선택은 어떠하신지요?
'온라인 및 유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팡 퀵플렉스를 하기 위한 준비물 3 (부수 준비물) (2) | 2024.04.26 |
---|---|
쿠팡 퀵플렉스의 현실적인 장점과 단점 비교 (0) | 2024.04.24 |
쿠팡 퀵플렉스를 시작하는 아마추어를 위한 위로(ft 이승철 M/V) (0) | 2024.04.16 |
쿠팡 멤버십 가격 인상에 대한 짧은 생각(ft, 알리, 테무) (0) | 2024.04.16 |
꿀라우터란 무엇인가? (1) | 2024.04.10 |